-
[ 목차 ]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종이 주민등록증을 대체하여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디지털 신분증입니다. 기존의 실물 주민등록증과 같은 법적효력을 가지게 되어 국민들의 편의를 위해 시행됩니다.
병원이나 은행등 신분증 지참이 필수적인 기관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강력한 보안 시스템으로 안전하게 보호하여 신분 도용등을 방지하였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방법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대면 또는 비대면 모두 가능하여 편한 방법으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1. 주민센터 방문 후 QR코드 촬영
-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모바일 신분증 발급 신청을 합니다.
- 모바일 신분증 앱 설치: 스마트폰에 모바일 신분증 앱을 설치합니다.
- QR코드 촬영: 주민센터에서 제공하는 1회용 QR 코드를 앱에서 촬영하면 발급이 완료됩니다.
2. 정부24 또는 주민센터 방문 후 IC칩 체크
- 정부24 또는 주민센터 방문: 정부24 웹사이트(비대면) 또는 주민센터(대면)를 방문하여 재발급 신청을 합니다.
- IC칩 태그: 기존 IC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을 모바일 신분증 앱에 태그하면 발급이 완료됩니다.
신청 비용 및 주의사항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신청 방법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통한 발급은 무료이지만, 이때는 실물 주민등록증 사진이 오래되었다면 재발급이 필요합니다.
이때 6개월 이내에 재촬영한 증명사진으로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아야합니다.
또한 QR코드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았다면 휴대폰 변경시 모바일 신분증도 새로 발급받아야 합니다.
IC주민등록증을 통한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IC칩이 내장된 주민등록증을 새로 발급받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발급비용은 1만원이며, 최근 6개월 내에 촬영한 증명사진이 필요합니다.
처음 주민등록증을 발급받는 2008년 생은 무료로 IC주민등록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휴대폰을 바꾸게 되더라도 IC주민등록증 태그만 다시하면 쉽게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처
현재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시범적용 중으로, 일부 지역에서 적용하여 시스템 안정화를 거쳤습니다.
(세종, 강원 홍천, 경기 고양, 경남 거창, 대전 서구, 대구 군위, 울산 울주, 전남 여수/영암)
전국 전면 발급은 올 3월경 시행될 예정이며, 17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https://www.gov.kr/portal/main/nologin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www.gov.kr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용처
- 행정기관: 주민센터, 시청 등 다양한 행정기관에서 신분 확인 수단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금융기관: 은행, 증권사 등 금융기관에서 본인 확인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의료기관: 병원, 약국 등에서 진료 및 약 처방 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운전면허 갱신, 여권 발급 등 다양한 민원 업무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장점
- 편리성: 스마트폰 하나로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합니다.
- 안전성: 강력한 암호화 기술로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 효율성: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 분실 시
모바일 주민등록증의 분실로 인한 신분도용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 빠른 대처가 필요합니다.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관련 기관에 신고를 통해 주민등록증의 효력을 정지해야 합니다.
신고는 모바일 신분증 누리집 센터 또는 전용 콜센터(1688-0900)로 가능합니다.
콜센터는 평일 9시~18시까지 운영하므로, 늦은 밤 분실하였다면 24시간 신고가 가능한 누리집 신고를 이용하세요.
https://www.mobileid.go.kr/mip/hps/roblos/selectRoblosStmtCrtfcForm.do
모바일 신분증 - 도난/분실 신고 화면
www.mobileid.go.kr